이전 과정에서 H2 데이터베이스 사용 준비를 마치고, 이제 JPA를 사용할 차례인데, 그 전에 JPA를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. 다음처럼 build.gradle 파일을 수정해준다.

수정이라고 해놨지만 수정이랄거까진 없고 그냥 형광펜 쳐진 부분의 코드를 추가해주면 된다.
implementation 'org.springframework.boot:spring-boot-starter-data-jpa'
이제 변경사항을 적용하면 JPA 라이브러리가 설치될 것이다. 그 다음은, JPA 설정을 위해 application.properties 파일에 다음과 같은 코드를 추가해준다.

추가한 항목을 간단하게 살펴보자.
- spring.jpa.properties.hibernate.dialect - 데이터베이스 엔진 종류를 설정한다.
- spring.jpa.hibernate.ddl-auto - 엔티티를 기준으로 테이블을 생성하는 규칙을 정의한다. 즉 위 코드에서는 update 규칙으로 테이블이 생성될 것이다.
위 설정에서 spring.jpa.hibernate.ddl-auto를 update로 설정했다. update와 같은 설정값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자.
- none - 엔티티가 변경되더라도 데이터베이스를 변경하지 않는다.
- update - 엔티티의 변경된 부분만 적용한다.
- validate - 변경사항이 있는지 검사만 한다.
- create - 스프링부트 서버가 시작될때 모두 drop하고 다시 생성한다.
- create-drop - create와 동일하다. 하지만 종료시에도 모두 drop 한다.
개발 환경에서는 보통 update 모드를 사용하고 운영환경에서는 none 또는 validate 모드를 사용한다.
마지막으로, JPA가 무엇인지 도식화된 그림으로 정리하고 넘어가자.



'백엔드 > Springboo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엔티티(Entity) -2- (0) | 2023.09.17 |
---|---|
엔티티(Entity) -1- (0) | 2023.09.17 |
JPA (1) | 2023.09.17 |
ORM(Object Relational Mapping) (0) | 2023.09.17 |
컨트롤러 (0) | 2023.09.17 |